본문 바로가기

속담: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

말탐꾼 2025. 3. 24.

 

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

 

의견이 너무 많아서 일이 제대로 안 될 때, 참 혼란스럽죠?
그럴 때 떠오르는 속담이 있어요.
바로 "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"입니다.

 

 

무슨 뜻이야?

한 일에 간섭하고 나서는 사람이 많으면 오히려 일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.

 

직역하면 이래요.

배를 모는 사공이 많으면 방향이 갈팡질팡하게 되죠.
결국 배는 강물이 아닌, 말도 안 되게 산으로 가버릴 수도 있다는 비유예요.


즉, 리더는 많을 필요 없고, 중심을 잡을 사람이 하나 있어야 한다는 말이에요.

 

 

언제 쓰는 말일까?

이 속담은 여러 사람이 제각각 의견을 내며 간섭해서 일이 더 복잡해질 때 자주 써요.


특히 팀 프로젝트나 단체 활동에서 중심 없이 우왕좌왕할 때 딱 어울리죠.


그럴 때 이렇게 말해요.
"지금 이거 완전 사공이 많아서 배가 산으로 가는 거 아니야?"

 

예를 들어 볼게요:

  • 조별과제에서 모두가 리더 하겠다고 나서서 결론이 안 날 때
    → "사공이 많으니까 방향이 안 잡히지… 이러다 배가 산으로 간다!"
  • 행사 기획 중 각자 의견만 내세워 회의가 끝도 없이 길어질 때
    → "이건 의견이 너무 많아.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더니."

 

 

한 편의 짧은 이야기

 

학교 축제 부스 기획을 하게 된 민정이네 반.


회의 자리에서 모두가 “이게 낫다”, “저게 더 좋다”며 의견을 쏟아냈지만 결론은 나지 않았어요.


시간만 흐르고 아이디어는 뒤죽박죽.


그걸 지켜보던 담임 선생님이 한마디 하셨어요.


“얘들아,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단다. 누가 정리 좀 해볼래?”

 

 

마무리 한 마디

함께하는 일일수록 중심을 잡고 이끌어줄 사람이 꼭 필요해요.


모두가 주도권을 쥐려고 하면 오히려 엉망이 되기 쉽거든요.


사공은 적절히, 배는 강물로! 현명한 협업이 중요하답니다.

 

'언어 백과 > 속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속담: 새 발의 피  (0) 2025.03.24
속담: 산 넘어 산  (0) 2025.03.24
속담: 빈 수레가 요란하다  (0) 2025.03.24
속담: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  (0) 2025.03.24
속담: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  (0) 2025.03.24

댓글